안녕하세요 턱규입니다.
오늘은 최근에 정부에서 출시한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상품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만약 중소기업에 근무하고 계시다면 반드시 신청하셔서 최대 13.5% 적금 가입 효과를 누려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설명 시작합니다!
1.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 공제란?
2024년 10월 28일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위와 같이 보도 자료가 나왔습니다.
바로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 상품을 출시했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는 중소기업 재직자가 5년동안 월 최대 50만 원씩 적립하고, 재직 중인 기업에서 재직자가 납부한 금액의 20%를 지원하여 만기 시 재직자에게 전액 지급하는 상품입니다.
즉, 5년 후에 재직자는 재직자 납입금 (10~50만 원) + 은행 우대 금리 + 기업지원금 (재직자 납입금의 20%) + 정부 세금 감면 혜택을 모두 누릴 수 있는 상품입니다.
2. 만기 시 받는 금액
다음으로는 월 납부금에 따른 예상 만기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월 50만 원으로 많이들 가입하실테니, 월 50만 원 납입을 기준으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재직자 : 50만 원 x 60 = 3,000만 원
- 기업 : 10만 원 X 60 = 600만 원
- 은행 : + @
은행 우대 금리에 따라 달라지긴 하겠지만, 현재 알려진 바에 의하면 5년 후 재직자가 수령할 수 있는 금액은 총 4,029만 원이라고 합니다!
3,000만 원을 저축하면 4,029만 원으로... 약 134%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어마어마하지 않나요?
참여하는 기업들 역시 혜택을 받는데요, 회사가 납입하는 금액에 대해 소득세 및 법인세 감면 혜택이 주어지고, 대출금리 인하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기업은 피해받지 않게 정부에서 잘 설계가 된 것 같네요 ㅎㅎ
3. 가입 방법
현재로써는 하나은행과 IBK기업은행에서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기업이 먼저 신청을 하셔야 하는데요, 기업이 중진공과 협약을 하고 신청을 넣으면 재직자에게 알려주어 신청을 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 재직자 우대 저축공제는 청년도약계좌나 청년희망적금, 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하셨던 분이라도 중복으로 가입 가능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4. 가입 후에 중도 퇴사하면 어떻게 될까요?
대부분의 분들이 가장 걱정하는 것은 가입하는 것은 좋으나, 5년이라는 기간이 가장 걱정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5년 안에 중소기업이 아닌 중견/대/공기업으로 이직하게 되면 어떡하지?
회사가 갑자기 망하면 어떡하지? 라는 생각을 하실 겁니다.
이 부분에 대한 해답은........?!
중도 해지는 재직자 또는 기업이 신청하면 성립이 되고, 퇴사는 중소기업이 신청해야만 합니다.
3년 미만시 지원금은 전액 회사로 반환되며, 3년 이상 근무 시에는 재직 개월 수에 따라 안분하여 지급됩니다.
그러니 너무너무 힘들더라도 최소 이 상품에 가입하신 분들이라면 최소 3년(36개월)은 채우시길 바랍니다... 그동안 모은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면 너무 아깝잖아요....?!
단, 특별 중도 해지 시에는 사유에 따라 중소기업 납입금 전액이 재직자에게 지급됩니다!
5. 마무리
오늘은 이렇게 중소기업재직자 우대 저축공제에 대해서 알아보고 퇴사/이직 시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지 정리해봤습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저축공제 약관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니, 가입 전에 꼼꼼하게 읽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Wise consumer > 정부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A 계좌 혜택 축소? 해외 ETF 배당소득세 부과가 미치는 영향 (0) | 2025.02.05 |
---|---|
2025년 달라지는 고용노동 정책 : 꼭 알아야 할 변화 총 정리 (0) | 2025.01.20 |
30만 원 공짜로 준다?! 내란회복지원금,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1) | 2025.01.16 |
K-패스 교통카드 신청하고 최대 53% 페이백 받자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주목!!) (1) | 2024.04.25 |
2024년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하고 20만 원 받자! (신청자격, 신청방법 정리) (0) | 2024.04.16 |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전환 방법 안내 (일반가입자 분들 주목하세요!!) (0) | 2024.04.01 |
기후동행카드 발급 꿀팁과 이용방법 총정리 (0) | 2024.02.14 |
고향사랑기부제, 기부하고 13만 원 돌려받자! (연말정산, 답례품) (1) | 2023.11.23 |